강원대 정현석, 을지대 문지영, 카이스트 김필한 교수와 중앙연계 김상범이 공동 연구한 논문이 THE JOURNAL OF CELL BIOLOGY의 Spotlight로 선정되었습니다.
[pdf-embedder url=”https://biocon.re.kr/wp-content/uploads/2017/06/17-KRS-synopsis_jcb.201706039.pdf” title=”17 KRS synopsis_jcb.201706039″]
강원대 정현석, 을지대 문지영, 카이스트 김필한 교수와 중앙연계 김상범이 공동 연구한 논문이 THE JOURNAL OF CELL BIOLOGY의 Spotlight로 선정되었습니다.
Cancer cells often trigger an inflammatory process, which in some cases may be driven by the presence of lysyl-tRNA synthetase (KRS) in the medium. Kim et al. (2017. J. Cell Biol.https://doi.org/10.1083/jcb.201605118) now demonstrate that cleavage of the KRS by caspase-8 inside cells triggers its interaction with syntenin and its release in inflammatory exosomes.
Aminoacyl-tRNA synthetases (ARSs) are intriguing enzymes. Intracellularly, they catalyze the covalent attachment of amino acids to tRNAs and are key regulators of protein translation. However, these housekeeping enzymes have many other tricks up their sleeves. In the cell, several ARSs are also able to regulate gene expression at the level of transcription, splicing, and translation but via noncatalytic and unique mechanisms. ARSs also have different functions in the extracellular space, where they can elicit cytokine signaling responses that control angiogenesis, induce immune and proinflammatory gene expression programs, and trigger cell migration or apoptosis. The response elicited by particular ARSs is specific to the target cells (Son et al., 2014). For instance, when present in the extracellular medium, lysyl-tRNA synthetase (KRS) binds to macrophages and monocytes and activates MAPK signaling pathways that induce macrophage migration and TNF production (Park et al., 2005). How ARSs are released to the extracellular medium to carry out these activities is unknown. ARSs do not contain a signal peptide, and pharmacological agents blocking secretion through the secretory pathway have no effect on the amount of ARS in the medium. For a while, the presence of ARSs in the extracellular medium was thus thought to be caused by their passive release from cells that have undergone necrosis. In this issue, Kim et al. reinvestigate how KRS is released from cancer cells and find that this occurs through a caspase-8– and syntenin-dependent incorporation of KRS in exosomes.
http://jcb.rupress.org/content/early/2017/06/15/jcb.201706039
[pdf-embedder url=”https://biocon.re.kr/wp-content/uploads/2017/06/17-KRS-synopsis_jcb.201706039.pdf” title=”17 KRS synopsis_jcb.201706039″]
입찰번호: 제20211019-01 입찰에 부치는 사항 가. 계약명: LCMS System 나. 계약방법: 일반경쟁 다. 용역기간: 계약일로부터 1개월 라. 입찰 및 낙찰방법: 규격적합자 중 최저가 마. 수요기관: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입찰참가자격 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2조(경쟁입찰의 참가자격)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입찰참가자격요건의 증명) 규정에 따라 경쟁 입찰 참가자격을 갖춘 자 나.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6조 규정에 의한 부정당업자 에
입찰번호: 제20211019-01 1. 입찰에 부치는 사항 가. 계약명: Arc HPLC with QDa System 나. 계약방법: 일반경쟁 다. 용역기간: 계약일로부터 1개월 라. 입찰 및 낙찰방법: 규격적합자 중 최저가 마. 수요기관: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2. 입찰참가자격 가.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12조(경쟁입찰의 참가자격) 및 동법 시행규칙 제14조(입찰참가자격요건의 증명) 규정에 따라 경쟁 입찰 참가자격을 갖춘 자 나.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기존 기술의 한계를 돌파하는 세계최고의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본 사업의 한 분야인 ‘혁신형 의약바이오컨버젼스’를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에서 수행 중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혁신형 의약바이오컨버젼스 연구분야의 신규 세부과제를 공모하고자 하오니 관심있는 연구자들의 많은 신청 바랍니다. 2018년 04월 09일 (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장 김성훈 과제공고-제2018-01-(재)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3단계 3차년도 과제 공모 o 상세 사항 : 붙임 참조
©2010-2025 Medicinal Bioconvergence Research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