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낮은 약가와 예측불가능한 정책으로, 신약 등재 기피국가로 격하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 추후에는 글로벌 제약사가 한국 허가 자체를 늦출 것이라는 우려까지 제기된다.
제약업계에 따르면, 일부 다국적 제약사는 한국지사에 신약 급여 등재를 늦추도록 요구하고 있다. 한국의 낮은 보험약가가 다른 나라, 특히 중국, 대만 등의 약가형성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본사와 출시 시기에 대한 협상이 어렵다. 예전에는 미국 출시 후 바로 국내출시하려는 분위기였다면 이제는 다른 나라에서 먼저 등재할 때까지 기다리라고 한다”며 “심지어는 중동이 허가를 받은 다음 해에 등재하라는 요구도 있었다”고 토로했다.
다국적 제약사 고위 임원은 “멕시코 지사에서 한국 등재를 늦춰달라는 연락을 받고 불쾌했다. 우리나라가 이머징 국가보다 취급을 못 받는가 싶어서”라며 “신약 가격을 제대로 못 받는다면, 외자기업도 한국 발매를 늦출 수밖에 없다. 한국은 발매 기피국가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현재 식약처 허가를 받고도 보험등재 되지 못한 신약은 70여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와 제약사의 약가협상이 성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는 신약의 도입조차 어려울 거라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전망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비보험으로라도 신약을 판매했지만 앞으로는 한국 허가 자체를 꺼릴 것”이라며 “지금은 미국 등의 허가 후 1~2년 안에 국내 허가를 받고 있는데 추후에는 상당이 늦춰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 관계자는 “혁신신약의 빠른 공급이 안되는 게 가장 큰 문제가 될 것”이라며 “대체품목이 없는 희귀의약품이나 혁신신약의 도입이 늦춰지면 환자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임상국으로서의 위상이나 시장자체에 대한 매력이 크게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비발매국에서 임상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메디컬 측면에서도 한국이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제약업계 관계자는 “당장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한국시장 철수로 귀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며 “기업은 2~3년전부터 사업계획을 짜고 본사의 투자를 받는데, 신약 도입의 모멘텀 없이 조직을 키울 순 없다. 신약을 들여오냐 안 들어오냐에 따라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데 한국은 예측하기 힘든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