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스탠포드대학의 엘리자베스 뉴턴은 1990년 박사 논문을 준비하면서
‘두드리는자와 듣는자’라는 실험을 했다.
한 사람이 이어폰으로 크리스마스캐럴과 같이
누구나 아는 120곡 정도의 노래를 탁자를 두드리는 방식으로 들려주었다.
얼마나 맞혔을까?
탁자를 두드리는 사람은 듣는 사람이 연주한 노래의 50퍼센트 이상은 맞힐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실제로 듣는 사람은 2.5퍼센트 가량의 곡만 알아맞혔다.
듣는 사람은 그저 박자만 듣게 되지만
두드리는 사람은 마음속에 생각한 리듬을 근거로 상대방이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착각한 것이다.
이런 문제는 특히 교육 현장에서 많이 일어난다.
어떤 주제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는 사람은
아예 모르거나 적게 알고 있는 사람의 처지를 헤아리는 데에 무능하기 때문에
그런 착각이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가르켜 ‘지식의 저주 The curse of knowledge’라고 한다.
전문가의 저주라고 하는 것이다.
우리가 데이터 발표나 논문 작성시에 이런 오류를 자주 범하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봅시다.
-김성훈 단장-